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1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2기 - 백엔드(java, 자바) 3주차 학습 일지 3주차 입니다. 2주차는 아래 🔽🔽🔽 https://ppirae.tistory.com/121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2기 - 백엔드(java, 자바) 2주차 학습 일지 2주차 학습일지로 돌아왔습니다. 1주차는 아래 🔽🔽🔽 https://ppirae.tistory.com/115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2기 - 백엔드(java, 자바) 1주차 학습 일지 10/5일 스타터스 부트캠프 2기에 최종 합 ppirae.tistory.com 프로젝트 팀 빌딩 저번 2주차 금요일에 19명의 팀원이 각자 개인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 중에서 4개의 상위 아이디어를 뽑아 그 팀에 합류했다. 저는 맨 위에 여기다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었고 안드2, 백엔드2의 백엔드 팀원이 되었다. 프로젝트 경험이 많지.. 2022. 10. 29.
세광양대창 교대본점 - 대창, 막창, 특양 맛집 오늘은 세광양대창 교대본점에서 밥을 먹었습니다.교대역 3호선 1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습니다.저녁 9시라서 자리는 넉넉했습니다.1층도 있고 2층도 있습니다. 조용한 곳은 아니고 시끌벅적한 분위기에서 먹을수 있었습니다.반찬이나 식기는 깔끔하고 좋은 편입니다.메뉴판인데요대창구이 - 15000막창구이 - 15000특양구이 - 19000저렴한 가격은 아니라서 가성비 맛집은 아니고 그냥 맛집입니다 ㅎ 특양 2인분, 대창 1인분, 막창 1인분 입니다.가게 점원분이 다 구워주셔서 먹기 편했습니다.특양은 처음 먹어본것같은데 부드럽고 맛있었고대창은 늘 아는 그 맛(건강에 나쁜맛) 맛있었고막창도 쫄깃하니 맛있었어요.저는 이 안주에 소주를 안먹을 수가 없었기에소주 한 병도 마셨습니다.이후에 대창 2인분 까지 추가.. 2022. 10. 26.
함께 자라기 : 애자일로 가는 길 (1) 당신은 몇 년 차? 강한 놈이 오래 가는 게 아니라, 오래 가는 놈이 강한 거더라. - 장필호 에서 소프트웨어 기술자의 등급은 기술자격보다 ‘경험’, ‘경력’이라는 요소가 결정적이다. 하지만 사실, 경력과 업무수행 능력은 깊은 상관성이 없다. (ex. 10년차와 2년차) 따라서 채용할때는 경력을 경계하고 구조화된 인터뷰와, 작업 샘플 테스트, 짧은 기간 동안 실제 일을 해보게 하는 것이 훨씬 좋다. 앞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점차 경력 연수를 중시하는 문화가 사라질 것이다. 1만시간의 법칙은 그냥 경력과 시간의 얘기가 아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을 만든 안데쉬 에릭손에 따르면 1만 시간은 ‘자신의 기량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반복적으로 한 수련’(의도적 수련)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업무를 하면서 의도적 수련.. 2022. 10. 24.
애자일 마스터 (1) 1. 애자일의 핵심 → 매주 꼬박꼬박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 에 대한 답을 얻어야 함 정말 중요한 것은 제대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정기적으로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 1.1 매주 가치 전달하기 매주 가치를 전달한다는 것은 고객에게 전달한 소프트웨어가 잘 작동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는 의미를 내포 1. 큰 문제들을 작은 문제들로 세분화하라 2. 가장 중요한 것에 먼저 집중하고, 다른 것들은 다 잊어버려라 3.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또 확인하라 4. 피드백을 구하라 5. 필요하다면 계획을 바꾸라 6. 책임감을 가져라 1.2 어떻게 애자일로 계획을 세울까? 마스터 스토리 리스트 프로젝트 기간 동안 해야할 일을 담은 목록 여기에 고객은 소프트웨어에 추가하고 싶은 모든 기능(사.. 2022. 10. 23.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2기 - 백엔드(java, 자바) 2주차 학습 일지 2주차 학습일지로 돌아왔다. 1주차는 아래 🔽🔽🔽 https://ppirae.tistory.com/115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2기 - 백엔드(java, 자바) 1주차 학습 일지 10/5일 스타터스 부트캠프 2기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글에 https://ppirae.tistory.com/113 [유데미X웅진씽크빅] STARTERS 2기 최종합격 (백엔드) 후기 https://www.udemykorea.com/bootcamp/.. ppirae.tistory.com 개발 공부의 시작 저번 1주차의 주 학습 내용은 기획이었다. 개발자도 기획의 프로세스를 알아야 기획자와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번 2주차가 시작되고 한달동안 본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학습이 시작되었다. 우.. 2022. 10. 22.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1) 1장. 코드는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가독성의 기본 정리 코드는 다른 사람이 그것을 이해하는 데 들이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분량이 적으면 항상 더 좋은가 ? 아니다. 적은 분량은 좋은 목표이긴 하지만, 이해를 위한 시간을 최소화하는 게 더 좋은 목표다. 우리는 다른 사람이 내 코드를 읽고 이해하기 쉬운지 상상해본적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시간과 노력이 든다. 하지만 꼭 필요하다 2장. 이름에 정보 담기 특정한 단어 고르기 get(x) → FetchPage(o), Size(x) → Height(o) 등 재치 있는 이름보다 명확하고 간결한 이름이 더 좋다. 보편적인 이름 피하기 tmp, retval, foo (x) 이렇게 무의미한 이름이 아니라, 개체의 값이나 목적을 정확하게 설명하는 .. 2022. 10. 20.